본문 바로가기
Dev

공유기 포트포워딩 & 로컬서버 외부접속

by kimyoungrok 2024. 1. 14.
728x90

로컬서버를 로컬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접속이 아닌, 외부 네트워크에서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pTime A2004SE 환경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공유기 포트포워딩

 

우선 ipTime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192.168.0.1)에 접속합니다.

초기 아이디 및 비밀번호는 admin, admin입니다. 로그인 후 관리도구로 들어갑니다.

좌측 목록에서 ' +고급설정 ' 을 클릭하면 숨겨진 메뉴가 나옵니다.
' +NAT/라우터 관리 ' 의 ' 포트포워드 설정 '을 클릭합니다.

 

이제 하단의 입력창을 통해 포트포워딩을 설정해주면 됩니다.

 

  • 규칙이름 : 공유기 관리자에서 관리할 명칭입니다. 자유롭게 작성하면 됩니다.
  • 내부 IP주소 : 로컬에서 서버로 사용할 기기의 IP를 입력하면 됩니다.  현재 사용중인 컴퓨터를 서버로 사용하는 경우 ' 현재 접속된 IP 주소 ' 를 체크하면 됩니다.
  • 외부 포트 : 외부에서 로컬 서버에 접속할 때 사용할 포트번호입니다.
  • 내부 포트 : 로컬 서버의 포트번호입니다.

아래와 같이 입력 후 하단의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 ' test ' 라는 이름의 포트포워딩 규칙이 생성되며, 로컬 서버로 사용되는 컴퓨터의 사설 IP는 192.168.0.3 입니다.

로컬 서버의 포트 번호는 8000번 이며 로컬에서는 loaclhost:8000 또는 127.0.0.1:8000으로 로컬 서버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포트번호와 동일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외부에서 로컬 서버로 접속할 때 사용하는 포트번호는 1000번이며, 공개IP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공개 IP는 cmd 명령어를 통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curl ifconfig.me

 

또는 아래 주소로 접속해 알 수 있습니다.

 

내 아이피 확인 (My ip address) - ip.pe.kr

27.0.238.114 당신의 공인 아이피 주소는 위와 같습니다. 접속하신 국가는 대한민국 (KR) 입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서버를 이전 했습니다! NEW -->

ip.pe.kr

 

이제 공인IP뒤에 포트번호를 붙여 로컬서버에 접속하듯 접속하면 됩니다.
예를들어 공인IP가 1.1.1.1 이고 위에서 설정한 외부 포트가 1000인 경우 외부 네트워크에서 1.1.1.1:1000을 통해 로컬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