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7장 연습문제 정답

kimyoungrok 2024. 12. 10. 22:44

01 컴파일러가 일차적으로 번역하여 만든 파일은?

  1. 연결 단계
  2. 목적 코드
  3. 라이브러리
  4. 동적 라이브러리

02 컴파일에서 오류를 점검하였으나 라이브러리에 속한 파일은 비어 있는 상태로 만들어지는 것은?

  1. 연결 단계
  2. 목적 코드
  3. 라이브러리
  4. 동적 라이브러리

03 DLL과 가장 연관 깊은 것은?

  1. 연결 단계
  2. 목적 코드
  3. 디버깅
  4. 동적 라이브러리

04 메모리 관리 유닛이 물리주소로 변환하는 것은?

  1. 간접 주소
  2. 상대 주소
  3. 논리 주소
  4. 직접 주소

05 논리 주소 공간의 74번지에 접근하려고 한다. 해당 프로세스가 물리 주소 124번지에 올라와 있다면 물리 주소 몇 번지에 접근하면 되는가?

  1. 125
  2. 124
  3. 75
  4. 198

06 논리 주소 공간은 몇 번지부터 시작하는가?

  1. 1
  2. 100
  3. 0
  4. 200

07 물리 메모리의 크기보다 더 큰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기법은?

  1. 메모리 오버레이
  2. 페이징
  3. 세그먼테이션
  4. 스왑

08 메모리에서 쫓겨난 데이터들이 옮겨가는 곳은?

  1. 메모리 오버레이
  2. 페이징
  3. 세그먼테이션
  4. 스왑

09 저장장치에 존재하지만 메모리 관리자가 관리하는 곳은?

  1. 메모리 오버레이
  2. 페이징
  3. 세그먼테이션
  4. 스왑

10 가변 분할 방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조각 모음
  2. 외부 단편화
  3. 내부 단편화
  4. 연속 할당 방식

11 가변 분할 방식에서 서로 떨어져 있는 빈 메모리 영역을 하나로 통합하는 작업은?

  1. 조각 모음
  2. 외부 단편화
  3. 내부 단편화
  4. 비연속 할당 방식

12 고정 분할 방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페이징
  2. 외부 단편화
  3. 내부 단편화
  4. 비연속 할당 방식

13 가변 분할 방식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작은 조각의 빈 메모리를 가리키는 것은?

  1. 페이징
  2. 외부 단편화
  3. 내부 단편화
  4. 비연속 할당 방식

14 가변 분할 방식의 메모리 배치 방식 중 메모리에서 적재 가능한 공간을 순서대로 찾다가 첫 번째로 발견한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것은?

  1. 최악 배치
  2. 최적 배치
  3. 최초 배치
  4. 연속 배치

15 가변 분할 방식의 메모리 배치 방식 중 메모리의 빈 공간을 모두 확인한 후 크기가 가장 비슷한 곳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것은?

  1. 최악 배치
  2. 최적 배치
  3. 최초 배치
  4. 연속 배치

16 가변 분할 방식의 메모리 배치 방식 중 빈 공간을 모두 확인한 후 가장 큰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것은?

  1. 최악 배치
  2. 최적 배치
  3. 최초 배치
  4. 연속 배치

17 세그먼테이션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조각 모음
  2. 외부 단편화
  3. 내부 단편화
  4. 연속 할당 방식

18 페이징 메모리 관리 기법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조각 모음
  2. 외부 단편화
  3. 내부 단편화
  4. 연속 할당 방식

19 ( 캐시 )는 미리 가져오기 prefetch의 특징을 가진 저장장치다.

20 ( 캐시 )는 CPU안에 존재하는 것으로 메모리에 접근하기 전에 먼저 살펴보는 저장장치다.

21 ( 목적코드 )는 컴파일러가 일차적으로 번역하여 만든 파일이다.

22 ( 링커 )에서는 각자 만든 소스코드를 컴파일해서 만들어진 목적 코드를 주고받아서 다시 컴파일한다.

23 ( 동적 라이브러리 )는 실행할 때 삽입되는 함수 코드를 가진 라이브러리다.

24 메모리 관리 유닛은 ( 논리 주소 )를 물리 주소로 변환한다

25 물리 메모리의 주소는 ( 0 ) 번지부터 시작한다

26 ( 메모리 오버레이 )는 물리 메모리의 크기보다 더 큰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기법이다.

27 ( 스왑 영역 )은 메모리에서 쫓겨난 데이터들이 옮겨가는 곳이다.

28 ( 스왑 인 )은 데이터가 스왑 영역에서 메모리로 올라오는 것을 말한다.

29 ( 스왑 아웃 )은 데이터가 메모리에서 스왑 영역으로 옮겨 가는 것을 말한다.

30 ( 스왑 영역 )은 저장장치에 존재하지만 메모리 관리자가 관리한다.

31 ( 외부 단편화 )는 가변 분할 방식에서 발생하는 단편화다.

32 ( 내부 단편화 )는 고정 분할 방식에서 발생하는 단편화다.

33 가변 분할 방식의 메모리 배치 방식 중 ( 최초 배치 )는 메모리에서 적재 가능한 공간을 순서대로 찾다가 첫 번째로 발견한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법이다.

34 가변 분할 방식의 메모리 배치 방식 중 ( 최적 배치 )는 메모리의 빈 공간을 모두 확인한 후 크기가 가장 비슷한 곳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법이다.

35 가변 분할 방식의 메모리 배치 방식 중 ( 최악 배치 )는 공간을 모두 확인한 후 가장 큰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법이다.

36 세그먼테이션 메모리 관리 방식은 프로세스를 하나의 덩어리로 취급하기 때문에 ( 연속 )할당 방식이다.

37 컴파일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여러 소스 코드를 각각 컴파일해 목적 코드를 만들고, 목적 코드를 결합하는 링킹을 통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38 동적 라이브러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프로그램 실행 시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런타임에 로드하고 연결하는 방식의 라이브러리

39 메모리 오버레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실행하려는 프로그램의 크기가 메모리보다 클 때 필요한 모듈만 메모리에서 실행하는 작동 방식

40 스왑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메모리가 부족해 쫒겨난 프로세스를 저장장치에 저장해 실행하는 방식

41 가변 분할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프로세스의 크기에 따라 메모리를 분할하는 방식으로 메모리를 연속으로 할당하며, 세그먼테이션 메모리 관리 기법을 사용한다.

또한, 실행 중 인 프로세스가 종료 후 빈 공간을 단편화라고 하며, 이를 외부 단편화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작은 조각이 발생하지 않도록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메모리 배치 방식과 작은 조각을 하나의 큰 덩어리로 모으는 조각 모음을 사용한다.